noder is
everywhere
  • 카테고리
    • 에디터 초이스
    • 인사이트
    • 프로젝트 해부학
    • 큐레이션
    • 번역 콘텐츠
    • 인간 탐구
    • 시황 분석
    • 교육
  • 소개
    • 노더 소개
    • 필진 소개
  • 후원
    • 후원하기
    • 후원자님들 ♥
  • 노더콘 2021
  • 컨택
    • 제휴 문의
    • 텔레그램
    • 페이스북
    • 필진 지원
    • 뉴스레터 구독
최근 인기 포스팅
  • 다크웹 탐사 (2): 어두운 면을 보다
    다크웹 탐사 (2): 어두운 면을 보다
  • 다크웹 탐사 (1): Explore. Privately.
    다크웹 탐사 (1): Explore. Privately.
  • 블록체인 게임의 성공을 위한 4가지 요소
    블록체인 게임의 성공을 위한 4가지 요소
  • DID가 극복해야 할 문제
    DID가 극복해야 할 문제
  • TPS만 높으면 장땡인가
    TPS만 높으면 장땡인가
페이스북 페이지
페이스북 페이지
조회수
  • 129,654 hits
noder
  • 카테고리
    • 에디터 초이스
    • 인사이트
    • 프로젝트 해부학
    • 큐레이션
    • 번역 콘텐츠
    • 인간 탐구
    • 시황 분석
    • 교육
  • 소개
    • 노더 소개
    • 필진 소개
  • 후원
    • 후원하기
    • 후원자님들 ♥
  • 노더콘 2021
  • 컨택
    • 제휴 문의
    • 텔레그램
    • 페이스북
    • 필진 지원
    • 뉴스레터 구독
3K
258
  • 프로젝트 해부학

업타운 장안의 화제, ‘TTC Connect’로 무엇을 할 수 있을까?

  • 8월 13, 2019
  • 예상 완독 시간 4 분
  • 정금산
Total
0
Shares
0
0
0

작년말, 대중화를 위한 블록체인 솔루션이라는 슬로건을 달고 있는 프로젝트 TTC가 테스트넷 출시와 자체 월렛 ‘TTC Pay’를 출시하였다. 그리고 올해 4월 TTC는 메인넷 ‘리기’를 출시함으로써 기존의 ‘TTC Pay’를 ‘TTC Connect’로 이름을 변경함과 동시에 대중화를 위한 첫 걸음을 내딛었다. TTC는 최근 국내 상장과 유명 VC의 대표자 등록 그리고 큰 실유저풀 보유 등 국내에서의 그 첫 걸음 또한 화려했다.

*여기서 잠깐! TTC란?
TTC는 블록체인 기술의 상용화를 목표로 하는 블록체인 플랫폼이다. 따라서, 빠른 속도와 확장성 그리고 유저친화적인 디자인을 제공하고자 한다. TTC 블록체인 거버넌스에 모든 홀더들이 참여하고 참여에 따른 보상을 받을 수 있으며, 받은 보상을 통해 다양한 디앱 또한 이용이 가능하다. TTC는 일반 소셜 네트워크 사용자도 본인이 선호하는 에이콘 얼라이언스 서비스를 사용하여 보상을 받을 수 있는 에이콘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하며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에 특화되었다.

기본적으로 TTC 프로토콜은 DPoS라는 합의 알고리즘을 채택하였다. 때문에 EOS와 마찬가지로 TTC의 생태계를 운영하는 노드를 선출하기 위해서 실제 생태계 참여자들의 투표를 통해 노드 대표자들을 선출한다. 그리고 TTC도 다른 플랫폼들과 마찬가지로 자체 메인넷 위에 설계된 Dapp들이 존재하며 Dapp 상에서 TTC 토큰을 사용하여 지불 및 결제를 할 수 있다.

앞서 말한 기능들을 TTC에서 실현시켜 주는 도구가 바로 ‘TTC Connect’이다.

TTC 시작하기

TTC 생태계로의 여행을 위해서 아래 링크를 통해 ‘TTC Connect’ 어플을 다운받을 수 있다.
IOS : https://itunes.apple.com/kr/app/ttc-connect-wallet/id1436822085?mt=8
Android :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ttc.wallet

현재 지원하는 기능은?

기본적으로 TTC Connect에서 지원하는 기능은 메인넷 토큰 스왑, 토큰 보내기/받기, 대표자 투표가 있으며 최근 4월 25일 업데이트를 통해 TTC 자체 디앱 2가지를 선보였다.

어플을 실행하면 위 그림과 같은 화면을 볼 수 있다. ‘Create Wallet’을 클릭하여 자신만의 지갑을 만들어보자! 이때 자신에게 주어지는 프라이빗키는 은행 공인인증서와 마찬가지로 굉장히 중요하기 때문에 꼭 종이에 적어서 보관하도록 하자.

메인넷 토큰 스왑

기존 ERC-20 기반의 TTC 토큰을 메인넷 코인으로 바꿔주는 기능이다. TTC의 메인넷을 지원해주는 거래소에서는 자동적으로 이 과정이 이루어졌다. 하지만 MEW와 같은 개인 지갑을 통해 TTC 토큰을 갖고 있던 사람들은 해당 기능을 통해 손쉽게 메인넷 코인으로 전환받을 수 있다.

방법은 매우 간단하다. ‘내 정보’ 메뉴의 ‘TTC 메인넷 스왑’으로 들어가 ‘시작’버튼 클릭 후 주어진 주소로 기존 ERC-20 기반의 TTC 토큰을 전송하면 된다. 그럼 다음과 같이 TTC와 ACN이 1:10으로 지급된다.

*여기서 잠깐! 토큰스왑이란?
간단하게 표현하자면 프로젝트의 체제 전환이라고 표현할 수 있다. 많은 프로젝트들이 이더리움 프로토콜 기반 토큰을 통해 펀드레이징을 하였으며 이후 기술 개발을 마친 독자적인 메인넷을 지낸 프로젝트는 ERC-20 상의 토큰을 자체 메인넷 코인으로 전환한다. 이때 ERC-20 상의 토큰은 메인넷 코인으로 전환받기 위한 ‘증표’ 역할을 하며 주로 스냅샷을 통하여 에어드랍 형태로 메인넷 코인이 지급되며 이는 프로젝트&유저 입장에서 불필요한 수고가 많이 따른다. TTC의 경우 기존의 방법보다는 편리한 1. 자체 지갑을 통한 토큰스왑 2. 공식 거래소 파트너를 통한 스냅샷 형식으로 진행되었다.

토큰 보내기/받기

지갑의 가장 기본적인 기능이다. 메인화면을 통해 자신의 자산을 확인할 수 있으며 ‘보내기’와 ‘받기’ 버튼을 통해 타인의 지갑으로 TTC와 ACN을 전송할 수 있다.

보내기

화폐 단위 : 즉 보낼 토큰의 종류를 선택해준다.
받는 분 : 해당 토큰을 받고자 하는 분의 TTC Connect 혹은 TTC의 메인넷 입출금을 지원하는 지갑 주소를 입력한다.
금액 : 보내고자 하는 수량을 입력한다.
메모 : 최대 256단어
송금 속도 : 게이지를 왼쪽으로 둘수록 송금 수수료는 싸지만 전송 속도는 느림. 반대로 오른쪽으로 둘수록 송금 수수료는 비교적 비싸지만 전송 속도는 빠름.

받기

메인화면 ‘받기’ 버튼을 통해 본인의 지갑 주소와 QR코드를 확인 가능하며 오른쪽 상단 버튼을 통해 공유가 가능하다.

대표자 투표

투표를 통해 TTC 생태계를 이끌어가는 대표자 노드를 직접 선출할 수 있다. 대표자들은 총 4가지 티어로 나뉘어져 있으며 각 티어마다의 블록생성 참여 확률이 다르다. 그 말은 즉, 블록생성에 대한 보상을 획득할 확률이 다르다는 뜻과 같다.

1. 노드 선정 및 해당 노드의 ‘투표’ 버튼 클릭
2. 투표 상세 정보 확인 및 ‘투표’ 버튼 클릭
3. TTC Connect 암호 입력
4. 투표 상세 정보 ‘투표 성공’ 메시지 확인

디앱

*Tdex, 샤이닝런, 빌드 하우스, 럭키박스 등

Tdex

Tdex는 TTC의 탈중화 환전소이다. 앞으로 이곳을 통해 TTC 기반의 토큰들을 환전할 수 있다. 현재는 ACN/TTC 만 지원을 하며 앞으로 더 다양한 TTC 기반의 토큰들이 올라올 것이다.

샤이닝런

샤이닝런은 TTC의 첫 게임 디앱이다. 오락실에서 동전을 넣어 플레이하듯이 한판에 2TTC가 필요로 하며 일정 이상의 점수를 받으면 일정한 보상을 받을 수 있다.

그 외에도 다양한 디앱들이 출시될 예정이다.

* 5/20기준 Build House, Lucky Box 디앱 추가

만족스러웠던 점은?

TTC의 경우 다른 프로젝트와는 달리 굉장히 완성도 높은 제품을 메인넷과 함께 공개했고 유저 측면에서 굉장히 쉽게 접근할 수 있는 UI를 제공한다. 대체로 웹 월렛을 제공하는 경우가 많지만 IOS와 안드로이드 모두 함께 제공하여 많은 유저가 손쉽게 접할 수 있는 점이 매우 만족스러웠다.

아쉬웠던 점은?

아직 많은 디앱을 지원하지 않는 점과 최근에 있었던 네트워크 장애가 발생했다는 점이  아쉬웠다. 하지만 최근에 보여준 빠른 대응 및 생태계 확장을 위한 노력이 보이기 때문에 이 점 또한 충분히 극복할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한다.

전체적인 평가

현재는 월렛을 통한 매우 간단한 기능과 몇 안되는 디앱들을 제공하지만 상당히 완성도가 높은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추후 TTC 에이콘 얼라이언스(tataUFO, ALIVE, Pikicast, Cobak 등)와의 협업을 통해 어떻게 TTC Connect가 더욱 활용되고 많은 가능성을 보여줄지 기대가 된다.

*본 글은 2019년 4월 28일 기준으로 작성 및 수정되었습니다.

공유하기:

  • Tweet
  • Telegram
Total
0
Shares
Share 0
Tweet 0
Pin it 0
Related Topics
  • 티티씨 프로토콜
  • TTC
  • TTC connect
  • TTC protocol
정금산

건전한 생태계를 만들고자 합니다. 취미는 재미있는 디앱 찾기입니다.

추천 콘텐츠
스테이터스
콘텐츠 보기
  • 프로젝트 해부학
  • 에디터 초이스

디앱 re:UX 1호 – 안전한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스테이터스

  • 7월 15, 2020
  • 노더
디카르고
콘텐츠 보기
  • 프로젝트 해부학

상품을 움직이는 세 가지: 정보, 물질, 그리고 돈

  • 4월 29, 2020
  • 류짬
다크웹
콘텐츠 보기
  • 프로젝트 해부학

다크웹 탐사 (2): 어두운 면을 보다

  • 3월 26, 2020
  • 김동욱
콘텐츠 보기
  • 프로젝트 해부학

다크웹 탐사 (1): Explore. Privately.

  • 11월 15, 2019
  • 김동욱
콘텐츠 보기
  • 프로젝트 해부학

테라의 가격은 어떻게 안정화되는가

  • 10월 4, 2019
  • 이상욱
콘텐츠 보기
  • 프로젝트 해부학

그때 그사람들: 마운트 곡스 친구들 근황

  • 9월 22, 2019
  • Joker
콘텐츠 보기
  • 프로젝트 해부학

Moloch DAO의 철학적 연구에 대하여

  • 9월 20, 2019
  • 김준용
콘텐츠 보기
  • 프로젝트 해부학

24세기엔 돈이 존재하지 않는다

  • 9월 12, 2019
  • 류짬

댓글 남기기 응답 취소

  • 제휴 문의
노더를 찾아와주셔서 감사합니다

Input your search keywords and press Enter.